떡밥위키
최근 변경
최근 토론
특수 기능
파일 올리기
작성이 필요한 문서
고립된 문서
고립된 분류
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
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
내용이 짧은 문서
내용이 긴 문서
차단 내역
RandomPage
라이선스
IP 사용자
216.73.216.107
설정
다크 모드로 전환
로그인
서버 점검 공지
|
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
콜 오브 듀티: 모던 워페어 II/장비류
(r1 문단 편집)
닫기
RAW 편집
미리보기
== 게임 내 총기 제조사들 == 전작과 마찬가지로 본작에 등장하는 장비 전반부는 모두 가상의 제조사가 만들었다는 설정이다. 이전에 등장한 제조사를 포함해 새로운 제조사가 등장한다. 또한, 설계도를 통해서 특정 무기를 라이센스 생산하는 것으로 간접적으로 언급될 수 있다. 시즌1이 시작하기 전 설계도가 유출되어 몇몇 제조사의 이름이 공개되었다. * '''신가드 암즈 / Singuard Arms''' 스위스에 소재한 회사, 전작의 킬로 141의 제조사로 엑스페다이트 12를 라이센스 생산하고 있다.SA를 약칭으로 쓰고 있으나 공교롭게도 이 약칭을 같이 쓰는 제조사가 나왔기 때문에 자칫하다 헷깔릴 수 있다. 이번작에도 망원조준경을 포함한 부속품 위주로 생산한다. * '''XRK / Xecutive Response Kartel''' X12, X13 오토, 석궁의 제조사. 전작의 X16를 포함한 X시리즈 권총을 보면 현실의 [[글록]] 사에 어느 정도 대응되는 것으로 추정된다. 상점에서 판매하는 스킨 중 [[탄소강]]으로 총기를 만드는 XRK Karbon과 소총을 전문 생산하는 XRK Riflework같은 자회사를 두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'수박 파워'와 '라즈베리 드림' 스킨을 통해 [[프로틴]]같은 [[건강기능식품]]도 제조하고 있는 복합 기업일 거라고 유추할 수 있다. * '''포지택 매뉴팩처링 / FORGE TAC Manufacturing''' FTAC 리콘, 556 이카루스[* 베타에서는 해당 무기를 템푸스 아마먼트에서 제조했다.], FTAC 시즈, 9mm 데몬의 제조사. [[코네티컷 주]] 뉴 헤븐에 소재하며 FT, FTAC 등 약칭으로 등장하는 이름으로 꽤 많다. 회사 로고는 FORGE☆TAC 형태로 별 그림이 그려져있다. 본작에서도 여러 가지 각종 AR-15 부품들을 다수 생산하고 있다. * '''템푸스 아마먼트 / Tempus Armament''' 약칭 TA. [[로스앤젤레스]]와 [[텍사스 주]] [[오스틴(텍사스)|오스틴]]에 소재한 미국 총기회사. 본작에서 M4 플랫폼 무기와 관련 부품을 판매하며 템푸스 레이저백도 판매한다. 회사의 위치는 본작을 만든 [[인피니티 워드]] 사무실의 위치와 동일하다. 특유의 방패 각인이 템푸스의 트레이드 마크인데, 이는 [[나이츠 아마먼트 컴퍼니]]의 엠블렘을 패러디한 것이다. * '''FSS (First Signal Solution)''' 현실의 [[헤클러 운트 코흐]]를 모티브로 한 스위스의 총기회사. 본작의 전투 단검이 이 회사 제품이며 FSS 허리케인, 시그널 .50같은 특이한 형상의 총기 또한 생산하고 있다. 영문판에서 FFS로 나오는 일이 많았던 전작과는 다르게 이번에는 영문판도 FSS로 제대로 나온다. 자사의 냉전기 베스트셀러였던 구형 총기 시리즈인 [[H&K G3|라흐만 미어]] 전투소총을 생산하며 서브 브랜드로 LMP 기관단총도 생산한다. 라흐만 미어의 로고는 [[발터(총기회사)|발터]] 특유의 로고를 변형했으며 전작 BOCW의 총기회사인 쿤 운트 슈미트의 후신으로 추정된다. * '''코부스 / Corvus Defense''' 페넥의 제조사. 주로 부착물 위주로 생산한다. 콜트 디펜스의 이름을 비틀었으며 [[까마귀(콜 오브 듀티: 블랙 옵스 3)|블옵3의 Corvus]]를 연상케하는 이름이다. 한정 생산 브랜드 코부스 리미티드(Corvus Limited)를 통해 커스텀 총기를 판매한다. * '''크로넨 / Cronen Tactical''' 캘리포니아 글렌데일에 위치한 JOKR와 스트렐라-P, [[NGSW|.277 퓨리 탄종을 사용하는 차세대 개인화기]]인 스콜의 제조사. 총기를 포함해 중화기를 제조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외에는 각종 조준경과 부착물을 생산하고 있다. 모티브는 [[제너럴 다이내믹스]]+[[레이시온]] 으로 보인다. * '''VLK / ВЛК''' VLK라는 이름이 붙은 부착물을 통해 다시 등장했다. * '''솔로제로 / Solozero Optics''' 전작과 마찬가지로 기계식 및 광학 조준경을 주로 생산하는 제조사. SZ라는 약칭으로 나온다. * '''ZLR / Zodiac Libra Romero''' 유출된 설계도 모델링을 통해 다시 등장한 SA-B 50과 LA-B 330의 제조사. 본작에서는 아니메 감성의 총기 스킨보다는 카툰풍 스킨을 제작하는 것으로 노선이 약간 변경된 것 같다. * '''실버필드 / Silverfield Ordnance''' 약칭 SO, 오드넌스 웨폰 플랫폼을 제조하는 회사로 현실의 [[스프링필드 아모리]]에 대응되며 그외에 M4 플랫폼의 부착물 또한 만든다. 전작에서 [[베레타 92|레네티]]를 생산한 것은 현실에서 외국산 총기를 라이센스 생산한 것을 반영한 것으로 추측된다. * '''스투보 탁티체스킴 / Ствол Тактическим''' 영어로 Barrel Tactical이란 뜻을 가진 러시아계 군수기업. PILA와 RPG-7의 제조사로 부품 명칭은 STVOL이란 이름으로 시작한다. * '''베르단스크 조병창 / Верданский Оружейный Завод''' 카스토비아의 군수업체. 카스토비아가 설정상 구 소련 소속이였던 만큼, 카스토프 계열 총기를 생산하고 있는 회사중 하나이다. 현실의 [[칼라시니코프]]에 대응된다. * '''브루엔 / Bruen Arms''' 전작에 등장한 경기관총 브루엔 mk.9으로 언급된 스위스 [[제노바]]에 본사가 있는 군수업체. 브루엔 불펍 플랫폼과 브루엔 옵스 플랫, P890, 카랙 .300을 생산하며 M13B에는 브루엔 Inc. BAS-P에는 브루엔 파이어암스라는 명칭으로 등장하는걸 보면 세계 여러 곳에 지사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. 현실의 [[슈타이어]]와 [[SIG]]를 합친 듯. * '''임페라토리움 / Imperatorium''' 전작에서 설계도를 통해서만 언급되었던 제조사로 캠페인 한정으로 등장했다가 시즌1에서 추가된 빅터스 XMR를 만드는 것으로 등장한다. * '''브라이슨 / Bryson International''' 본작 신규 제조사. 미국 [[코네티컷 주]] [[브리스톨]]에 소재한 군수업체로 브라이슨 800 시리즈와 브라이슨 롱 라이플 플랫폼, 바실리스크를 생산한다. 전작에 등장했던 SP-R 208를 이곳에서 제조하는 것을 보면 해당 무기의 제조사로 언급된 슬로안 프리시전/ZLR이 라이센스 생산한 것으로 추정된다. 생산하는 무기를 보면 모스버그 & 선즈와 [[스미스 & 웨슨]]을 합친 것으로 보인다. SP-R 208의 경우 [[레밍턴 M700|원 모티브]]와 [[콜 오브 듀티 시리즈/통합 세계관|통합 세계관]]을 고려한다면 [[콜 오브 듀티: 블랙 옵스 콜드 워/장비류/주무기#s-6.1|펠링턴 703]]을 만든 [[레밍턴 암즈|펠링턴 암즈]]에게서 라이센스 혹은 권리를 얻은 후 이 회사가 자체 개량해서 내놨을 것으로 추측되나 상세한 내역은 불명이다. 자회사 내지 협력업체인 락우드(Lockwood)를 통해 산하 브랜드 '락우드 스포츠'를 내세워 락우드 300와 락우드 mk.2을 생산하고 이들 총기를 위한 부품 또한 생산한다. * '''저하르트 & 볼프 / Gerhard & Wolff''' SP-X 80을 라이센스 생산하고 있는 군수업체. 본작에서 일부 카스토프 소총들의 도안을 제작하고 있기도 하다. * '''엑스페다이트 / Expedite Firearms''' 약칭 EXF. 본작 신규 제조사로 엑스페다이트 플랫폼을 생산하고 있으며 해당 플랫폼을 모티브를 봤을때 현실의 [[베넬리 아르미|베넬리]]에 대응된다. 다만, 현실과는 달리 RAAL MG나 ISO 헴록같은 자동화기도 생산하는 것을 보면 SIG와 [[B&T]]같은 스위스 총기회사도 섞은 것으로 추정된다. * '''이바노프 그룹 / Ivanov Group''' 러시아 총기회사, 약칭 IG. 카스토프 소총에 사용하는 각종 부착물 및 고전 카스토프 총기 부품을 생산한다. [[칼라시니코프]]의 예전 명의인 [[이즈마쉬]] 조병창과 제니트 사를 혼합했다. * '''사킨 암즈 / Sakin Arms''' 본작 신규 제조사. 사킨 MG38과 사킨 G 시리즈와 [[톤파]]를 판매하는 [[이스라엘]] 군수업체이다. 일부 카스토프계열의 애프터마켓 부품도 생산하는데, 이를 보면 현실의 [[IMI]]와 FAB 디펜스/CAA 사에 대응된다. 사킨은 [[히브리어]]로 [[칼]]을 뜻한다. * '''택틱 베르트 / Tactique Verte''' 약칭 TV. 본작 신규 제조사. 택틱 베르트 플랫폼과 FR 어밴서를 만들고 MX 가디언을 라이센스 생산한[* 1인칭 시점에서 가늠자 쪽을 자세히 봐야 보인다.] [[프랑스]] 군수업체로 미국에 지사를 두고 있으며 현실의 [[FN 에르스탈]]에 대응된다. 자회사로 PDSW 528를 생산하는 '택틱 디펜스'가 존재한다. * '''아자로프 / Azarov''' 미국 [[알링턴#미국 텍사스 주 알링턴|텍사스 주 알링턴]]에 위치한 MX 가디언의 제조사. * '''켄달 발리스틱스, EDI / Kendall Balistics, EDI''' [[콜 오브 듀티: 인피니트 워페어]]에서 등장했던 무기회사들. 인피니트 워파이터: Eth.3n 번들의 총기들을 생산한 것으로 특별출연했다. * '''헤이지-미시킨 웍스 / Heiji-Mishkin Works''' "다마스커스 시리즈(Damascus Series)" 라는 각인이 새겨진 명성 최고레벨 보상 무기 설계도 제조사. 은도금이라도 한 것처럼 광택이 나는 강철 색상 & 총 여기저기에 가로로 긁은 듯한 스크래치 줄무늬가 특징인 무기 설계도를 제작하는 회사임을 무기 모델링 확인으로 알 수 있으며, 무기의 조정간 근처에 회사 이름과 함께 러시아에서 제작하고 일본에서 조립했다는 글자가 새겨진 것을 보면 일본-러시아 합작 군수업체로 보인다. * '''FJX / FJX Industries''' 코네티컷주 하트포드에 위치한 FJX 신더, FJX 임페리움의 제조사. 또한 본작의 섬광탄 역시 이 회사에서 생산하고 있다. * '''우셴코 / Збройовий Завод "Усенко"''' 우크라이나에 위치한 TR-76 가이스트와 투척 단검의 제조사. * '''블랙셀 시스템즈 / Black Cell Systems''' 시즌 3에서 추가된 신규 프리미엄 배틀 패스인 블랙셀 패스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무기 설계도 제조사. BLACK CELL SYSTEMS TACOMA, WA. USA라는 각인이 새겨진 것을 보면 [[워싱턴주]] 타코마에 위치한 군수업체이다. * '''스코피어스 밀리터리 그룹 / Scorpious Military Group''' 시즌 3 배틀 패스 진행 보상으로 획득 가능한 무기 설계도 중 라스 알마스 카르텔을 테마로 한 무기 설계도들(신 놈브레(ISO 햄록), 라 아라냐(카스토프-74U))의 제조사. 회사의 마크(붉은 바탕의 커다란 원 안에 아치형으로 쓰여진 회사의 이름, 그리고 회사 이름 아래쪽의 하얀 바탕의 원 안에 그려진 흰색 전갈과 꼬리 부분 양 옆의 S와 G 이니셜, 마지막으로 전갈 얼굴 바로 앞이자 붉은 바탕의 커다란 원 맨 아래쪽에 박힌 라스 알마스 카르텔 마크[* 붉은 마름모 안에 검은 색으로 그려진 장미꽃과 L, C, A라는 이니셜])에 대놓고 라스 알마스 카르텔의 심볼이 박혀 있는 것으로 보아 군수업체/용병업체로 위장한 라스 알마스 카르텔 산하의 위장회사인 것으로 추정된다. * '''무기 부착물 제조사''' [[블옵 콜드워]]와 같이 여러 가지 무기 부착물에 자사 명칭을 넣고 있다. 이들이 만든 총기가 설계도로 등장하기도 한다. * 맥8 / Mack8 Armory: 전작에서 설계도에서만 언급되었던 제조사로 산탄총 총구 부품을 포함한 각종 부착물을 생산한다. * XTEN: 조준경, 소염기 위주로 제조한다. '트레이서 팩: 케빈 듀란트'에서 XTEN 리그가 언급되고 '패스크 브레이크' 스킨에서 XTEN Tigers란 [[농구]]팀을 운영하고 농구 대회의 [[스폰서]]로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. 이는 [[글록]]의 [[승마]] 단체인 [[http://www.ghpc.at/en/at/home/|Glock Horse Performance Center]]를 모티브로 했기 때문이다. * 슐라거 / Schlager: 망원조준경과 소음기 위주로 생산하며 [[등반/장비#s-10.2|등반용 곡괭이]]도 생산하고 있다. * 코리오 / Corio Tacitical: 광학 조준경 위주로 생산하지만 의외로 M4 플랫폼 개머리판을 만들고 있다. * 테플로 / Teplo * 마투젝 / Matuzek: 유출된 설계도에서 언급된 제조사. 권총 및 산탄총 총열을 중점으로 제조한다. * 데모 / Demo Weapon System: 부착물과 같이 진압 방패를 생산하는 제조사. * 루카 / Luca Optics: 광학 조준경 위주로 생산한다. * 드랙스턴-소머스 / Draxton-Somers: DXS를 약칭으로 쓰고 있지만 DXS란 이름이 붙은 부착물이라도 생산하는 제조사가 다른 것이 존재해서 은근 헷깔리기 쉽다. 그 외의 약칭으로는 드랙스-솜(Drax-som)이 있다. * 메이코 / Meiko Optics: 名工,[* 한국어 독음으로 '명공'이라고 읽으며 '뛰어난 장인'이라는 뜻이다.] 일본의 군수업체로 M13B의 기계식 조준기를 만드는 것으로 등장. 본작의 일본풍 스킨 거의 대부분을 이 회사가 제작한다. * 프로기 브로스(Froggy bros). 우슬로프(Ushlov): 총기 설계 도안을 만드는 커스텀 회사. 아래 제조사는 총기가 아니라 킬스트릭이나 탑승장비같은 군용 장비 위주로 생산하는 제조사다. * '''로스윈 / Rothwynn''' DDOS와 경량형 헬기를 만든 제조사. 기업의 명칭과 로고 이미지는 미국의 방위산업체 [[레이시온]]에서 따왔다. 전작에선 [[다마고치|토모건치]] 같은 특이한 군용 시계를 제작한 바 있다. * '''탄토 / Tanto''' 본작 대부분의 킬스트릭을 제공해주는 일본의 제조사. 이름은 [[일본도]] 중 하나인 [[탄토]]에서 따온걸로 추정. 전작의 피커딜리 광장에서도 해당 회사 이름을 찾아볼 수 있으며, 현재는 [[파나소닉]]으로 합병된 [[산요전기|산요]]가 모티브이다. UAV, 폭탄 드론, 연막 드론, 휠슨, 스텔스 폭격기, VTOL 전투기, SAE, 공격 헬기, [[AC-130]], [[순항 미사일]]을 취급하며 소환시 이 제조사의 태블릿으로 요청한다. 특이사항으로 킬캠 화면을 자세히 보면 이 제조사의 이름이 보이는 것으로 보아 [[바디캠]]같은 군용 전술 장비까지 취급하는 것으로 추측된다. 캠페인의 미사일 제어 콘솔도 이 회사 제품이다.
요약
문서 편집을
저장
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
CC BY-NC-SA 2.0 KR
또는
기타 라이선스 (문서에 명시된 경우)
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. 이
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.
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.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,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(216.73.216.107)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.
저장
사용자
216.73.216.107
IP 사용자
로그인
회원가입
최근 변경
[불러오는 중...]
최근 토론
[불러오는 중...]